챗GTP 출시
챗GPT는 2022년 말 오픈AI(OPENAI)에서 출시한, GPT-3.5와 GPT-4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다. 챗GPT 출시 2년전 모델인 GPT-3을 다듬은 연구 버전으로 출시했는데, 공개 일주일만에 하루 100만명 이용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챗GPT란?
챗GTP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으로,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답변을 해주는 서비스이다.
GPT는 딥러닝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언어 모델인데, 수천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있다. 실제 대화 데이터베이스(DB)와 지식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해 챗GPT를 훈련시킨다. 특히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맥락 안에서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인간과 비슷한 대화를 생성해 내기 위해 수백만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전 훈련된 대량 생성 변환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람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으로 사람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챗GPT 한계
챗GPT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아직 입력되지 않은 최신 내용이나 정보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제나 논문, 에세이 제출에 챗GPT를 이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어, 학교에서도 여러가지 방식으로 차단하기 위한 노력들이 나오고 있다. 2022년 9월 미국 미술전에서는 생성 AI인 미드저니가 만든 작품이 1위를 차지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기업들의 대처
- 구글 : 대화형AI서비스인 '바드' (Bard) 출시
- 마이크로소프트 : AI기반 검색엔진 '빙' (Bing) 발표. 웹브라우저 '엣지'에도 AI기술 탑재
- 카카오 : 한국어 특화 AI모델 코GPT를 연내 발표할 예정
- 네이버 : 네이버가 그 동안 축적해온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한 하이퍼클로바X 발표
챗GPT 차단 사이트 증가
지난 22일 기준 전 세계 인기 있는 사이트 1000개 중 챗GTP 정보 수집을 차단한 사이트는 9.2%를 기록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스, CNN, 아마존 등의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 챗GPT는 기업들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저작권 문제로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본격 추진 (0) | 2023.09.08 |
---|---|
이제 AI가 코딩을 한다? LG CNS 'AI코딩' (0) | 2023.09.04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카카오 등 토종 생성형 AI 공개 (1) | 2023.08.23 |
CSP, MSP 개념과 차이점 (0) | 2023.08.22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본격화, 2030년 완료 (1)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