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이야기

CSP, MSP 개념과 차이점

by 코모사전 2023. 8. 22.
반응형

CSP란?

CSP는 Clou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클라우드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위치 상관없이 누구나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일부 제한적인 사람들만 사용 가능한 사설 클라우드가 있고,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공공 클라우드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CSP 업체는 미국의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클라우드 GCP, 오라클 OCI 이 있고, 중국에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그리고 국내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KT 클라우드, 삼성SDS, NHN 클라우드 등의 기업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공공기업이나 학교 등은 KT와 네이버 등의 CSP를 사용하고 있는데, 공공기업이나 금융기업등은 국내밴더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CSP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MSP란?

MSP는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운영, 관리서비스 및 기술을 지원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MSP는 CSP의 클라우드 인프라(물리적 서버 및 네트워크)를 빌려 고객사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설계, 컨설팅과 전환, 시스템 구축, 사후 서비스 등 클라우드와 관련된 전체적인 서비스 제공합니다.

국내 업체로는 메가존 클라우드, 베스핀 글로벌, 삼성 SDS, SK C&C, LG CNS 등이 있습니다.

 

CSP vs MSP 차이

CSP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MSP는 CSP와 고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MSP는 CSP의 클라우드 인프라와 환경을 이해하여, 기업의 클라우드 구축과 운영을 대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